분류 전체보기127 우리은하 The galaxy 은하수가 별의 집단이라는 것을 처음 알아낸 사람은 갈릴레이이고, 우리 은하의 모습을 최초로 연구한 사람은 허셜이었다. 도시에서는 불빛때문에 은하수는 물론 3등급 이하의 어두운 별까지도 보기 힘들지만 불빛이 없는 교외 지역으로 갈수록 기회가 더 많다. 우리은하은하는 수천억 개의 별, 수많은 별들로 이루어져있는 집단으로 우주가 탄생한 후(빅뱅이론) 생겨난 별들이 서로 끌려서 만들어진 것으로 쌍안경이나 천체 망원경으로 은하수를 관측하면 하늘의 다른 부분보다 훨씬 많은 별들이 보인다. 은하수는 백조자리에서 독수리자리를 지나 궁수자리로 이어지며 남반구를 돌아서 오리온자리를 지나 다시 백조자리로 이어진다. 이 때 은하수가 가장 밝고 넓게 보이는 별자리는 궁수자리 부근이다. 궁수자리 방향으로 우리 은하의 중심이 위치.. 2024. 2. 8. 태음력 태양력 그레고리력 윤년 책력회귀년은 계절의 주기로 365.2422일이다. 옛날 사람들은 달의 위상 변화의 주기를 삭망월이라 하고, 이 달로 계절의 주기를 묶어 1년이라는 시간을 만들어 역의 기초를 세웠다. 역은 어떤 단위를 주로 사용하여 엮었느냐에 따라 태음력, 태음 태양력으로 구분하였다. 태음력역의 기본 단위인 태양일과 삭망월을 주로 하여 엮은 것으로, 29,5306일을 1 삭망월의 주기로 하여 작은 달을 29일, 큰달을 30일로 정하였다. 따라서, 12개월은 354일이 되며, 1회 귀년보다 11일이 짧아서 3년에 한 달 이상의 차이가 생긴다. 이러한 날짜의 차이를 없애기 위해 19년에 7번의 윤달을 넣어 1년이 13개월인 윤년을 두게 한 책력을 태음태양력이라 하며, 이것이 우리나라에서 쓰이는 음력이다. 태양력역의 기본 단위.. 2024. 2. 8. 지구 공전과 계절의 변화 B.C. 270년 아리스타르코스는 지구가 자전하면서 다른 행성과 마찬가지로 태양의 주위를 공전한다는 지동설을 처음으로 주장하였다. 16세기에는 코페르니쿠스와 케플러가 다시 지동설을 제창하였으나 당시의 관측 기기로는 지구 공전을 정확히 증명하지 못하였다. 지구 공전태양이 황도 위를 매일 1도씩 공전하는 태양의 연주 운동이나 계절에 따라 별자리가 달라지는 현상은 잘 알려져있지만 이것이 지구의 공전을 증명하는 것은 아니다. 기차를 타고 갈때 가까이에 있는 물체는 먼 거리에 있는 물체에 대해 진행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만약 지구가 공전한다면 가까운 별은 멀리 있는 별들을 배경으로 천구상에서 1년 동안에 일정한 운동을 하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 지구의 공전에 따라서 나타나는 별들의 겉보.. 2024. 2. 7. 지구의 자전 천구의 일주운동태양과 달, 별들이 매일 동족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는 것은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이다. 모든 별들은 천구의 북극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그리며 하루에 한 바퀴씩 도는 것 처럼 보인다. 이를 천구의 일주 운동이라고 하며, 천구상에서 천체가 일주 운동하는 경로를 일주권이라고 한다. 주극성 전몰성 출몰성 일주권이 지평선에 걸리지 않는 별을 주극성, 일주권이 지평선 밑에 있어 어느 계절에도 전혀 볼 수 없는 별을 전몰성, 일주권이 지평선에 걸쳐 있어 계절에 따라 볼 수 있는 별을 출몰성이라고 한다. 주극성의 수는 관측자의 위도에 따라 달라진다. 지구 자전의 증거지구가 자전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생각한 사람은 B.C. 395년 그리스의 헤라클레이데스였지만, 그 당시 사람들은 모든 천체들이 천구에 붙어 지.. 2024. 2. 7. 이전 1 ··· 27 28 29 30 31 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