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태양계의 구성 소행성 혜성 유성 운석 차이점

by Funnyday 2024. 2. 5.

밤하늘 태양계를 이루는 9개의 행성과 소행성, 혜성들을 비롯하여 별, 성운, 성단, 은하 등 수많은 천체들이 빛난다. 망원경을 이용해 태양과 행성을 관측하고 태양게 탐사 자료를 이용해 태양, 행성의 특징을 알아보기도 했다. 태양계의 구성과 소행성 혜성 유성 운석 차이점을 알아보고 금성을 한밤중에 볼 수 없는 이유 등 관측 위치를 알아본다. 
 
초대형 천체 망원경과 우주 공간에 띄운 허블 우주 망원경, 그리고 우주 탐사선 등의 활약으로 맨눈으로 볼 수 없던 천체 및 은하와 우주의 부분들을 볼 수 있게 되었다. 특히 허블 우주 망원경은 수십억 광년 떨어진 곳의 희미한 별빛들을 촬영해 수십억 년 전에 과거를 볼 수 있게 해주었다. 
 

태양계 구성

태양계는 지구를 비롯한 8개의 행성, 행성 주위를 도는 60개 이상의 위성, 화성과 목성 사이에 분포하는 수많은 소행성, 그 밖에 혜성, 유성, 운석 등 크고 작은 여러 천체들의 집단으로 구성된다.
 

■ 태양계 구성 천체 중 모습이 둥글지 않은 것들

소행성과 같은 작은 천체, 위성들 중에도 포보스나 데이모스와 같은 작은 위성들은 중력이 약하거나 충돌에 의해 둥근 모습을 갖추지 못했다.
 

■ 태양에 가까운 행성 순서 

태양에 가까운 순서는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순이다. 
지구 안쪽 궤도를 도는 수성과 금성을 내행성이라고 하며,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을 외행성이라고 한다. 
 

■ 소행성, 혜성, 유성, 운석의 차이점

소행성은 화성과 목성 사이에 분포하는 작은 천체들을 말하며, 혜성은 태양 둘레를 여러 형태의 궤도로 돌고있는 작은 돌과 얼음 덩어리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천체이다. 
유성은 태양계를 떠돌던 먼지와 티끌 등이 지구의 인력에 이끌려 지구로 떨어지면서 지구 대기와의 마찰로 빛을 발하며 타는 물체이며, 운석은 타다 남은 유성의 일부가 땅으로 떨어진 것이다.
 

행성의 관측

밤하늘 눈으로 볼 수 있는 5개의 행성(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중 가장 밝은 행성은 금성으로 그 모습이 아름다워 샛별이라고도 불린다. 금성은 해진 직후와 해뜨기 전 잠깐만 모습을 나타내며, 나타나는 위치도 동서쪽 하늘의 일부에서만 볼 수 있기 때문에 신들의 제왕이 될수 없었다. 대신 그리스인들은 행성들 중 두 번째로 밝지만 밤하늘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목성에게 신의 제왕인 쥬피터란 이름을 붙였다. 
 
금성을 한밤중에 관측할 수 없는 이유는 금성이 내행성이므로 태양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없기때문에 한밤중에는 관측할 수 없다. 금성은 태양으로부터 최대 이각인 48도 이상을 떨어지지 않으므로 해진 후 약 3시간, 해뜨기 전 약 3시간 관측할 수 있다. 
 
행성과 별은 맨눈으로 구별하기는 어렵다. 쌍안경이나 천체 망원경을 이용하여 관측하면 행성은 모양이 구별되는 반면, 별은 너무 멀리 떨어져있기 떄문에 여전히 점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별과 행성을 오래도록 관측하면 별은 늘 자기 자리를 지키고 있는 반면 행성들은 별들 사이에서 위치가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태양계의 구성과 소행성 혜성 유성 운석 차이점을 알아보고 금성을 한밤중에 볼 수 없는 이유를 살펴보았다.